
이슈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해충의 약제 저항성을 줄이기 위해 농가에 농약 교호 살포 실천을 당부했다.
교호 살포란 동일 계열의 약제를 반복 사용하면 해충이 농약에 대한 유전적 저항성을 갖게돼 방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농약이나 약제 방제 시 다른 계통의 농약을 교차로 살포하는 방법이다.
실제 경기도 일부 상추 재배 농가에서는 아세타미프리드(4a) 계열의 약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방제효과가 저하됐지만 이후 클로르페나피르(13), 스피네토람(5) 계열의 약제를 살포해 해충번식을 막았다.
농약은 작용기작에 따라 제품 표면에 숫자로 분류 번호가 표기되며 숫자가 다른 약제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교호 살포의 핵심이다.
작물별 등록 약제 정보는 농약안전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농약 사용 시 안전사용기준에 맞춰 살포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관련 교육 및 홍보자료는 경기도 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박중수 환경농업연구과장은 “우리 농산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올바른 약제 처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슈앤 = 문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