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대표 "협상안을 수용할 수 없고 지도부 뜻과도 달라 재협상 지시"

이슈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정청래 당대표에게 공개 사과를 요구하는 등 3대 특검법 협상 결렬과 관련한 여당 내 갈등이 정면충돌로 치닫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원내지도부가 협상한 3대(내란·김건희·순직해병) 특검법 수정 합의안에 대해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파기 후 재협상을 지시하자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가 강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11일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취재진들과 만난 자리에서 "협상안을 수용할 수 없고 지도부 뜻과도 달라 재협상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청래한테 공개 사과하라고 하라" 고 직격탄을 날렸다.
김 원내대표는 또 이날 정 대표가 주재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도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그동안 당지도부, 법사위, 특위 등과 긴밀하게 소통했다"며 " 법안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수사 기간에 대한 여러 의견이 있었고, 그 의견을 국민의힘에 제안했으나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김 원내대표의 발언은 원내지도부가 당내 소통을 제대로 거치지 않고 국민의힘과 3대 특검법 협상을 진행했다는 지적을 정면으로 반박한 걸로 풀이된다.
또 김 원내대표 측은 야당과의 협의 전 정청래 대표와도 충분한 소통을 거쳤다는 입장인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번 합의에 대해 최고위원을 포함한 의원들이 공개 반대하는 등 비판의 화살이 자신에게 쏟아지자 격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도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김 원내대표가 대통령 의중을 반영해 여당과 합의한 게 아니냐'는 추측은 사실이 아니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앞서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장시간 협의 끝에 국민의힘의 요구대로 특검 파견 검사 증원 폭을 줄이고, 수사기간을 연장하지 않는 방향으로 특검법 수정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합의 내용이 알려지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들의 반발이 이어졌고, 일부 당원들은 원 내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하며 '문자 폭탄' 을 쏟아내는 등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이슈앤 = 최문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