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이재명 정부 첫 내각에 합류할 장·차관 후 보자들에 대한 '국민추천제'가 16일 오후 6시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속에 마감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정부의 국민추천제 '진짜 일꾼 찾기 프로젝트'가 예상보다 높은 국민 여러분의 참여 열기에 어제까지 접수 건수가 7만 4천여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절차는 '국민주권 정부'를 표방한 이재명 정부가 고위급 인사를 기용할 때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처음 도입한 제도다.
지난 10일부터 일주일 간 인사혁신처의 국민추천제 홈페이지, 이 대통령의 공식 SNS 계정, 전자우편 등을 통해 직접 추천을 받았다.
추천 대상은 장·차관 후보자를 포함해 공공기관장 등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는 주요 공직 후보자다.
대통령실은 추천받은 인사들에 대한 검증 작업을 진행한 뒤 최종적인 내각 인선 등 을 발표할 예정이다. 실제 발표는 이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이후 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 대변인은 국민추천제와 관련 "인기투표가 아닌 만큼 추천 횟수는 단순한 참고 사항일 뿐"이라며 "추천 횟수보다 추천 사유가 더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추천된 인재는 이번에 임용되지 않더라도 엄격한 검증을 거쳐 인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돼 이재명 정부의 추후 인사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일각에서 '셀프 추천' 이나 조직적인 동원 사례가 등장한 것과 관련 "자천이라고 해서 배제될 이유는 없다"며 "사유를 꼼꼼히 살펴 추천이 많다고 무조건 임용되는 것도 아니고, 인사 검증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합리성을 마련하고 들여다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추천제 실효성을 놓고선 여전히 뒷말이 나온다. 인기투표를 경계하기 위해서였지만 추천 횟수를 밝히지 않기로 하면서 '깜깜이 추천'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도나오고 있다.
또, 얼마나 많은 국민이 해당 인사를 장차관과 공공기관장으로 추천했는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에는 명분 쌓기용으로만 활용될 것이란 비판도 제기된다.
[이슈앤 = 최문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