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군합동조사도 방첩사령관 지시로 무산 … 조사 차단 정황
작전 닷새 뒤 드작사 화재 … 조직적 은폐 시도 의심돼

이슈앤 / 지난해 10 월, 북한 평양에 삐라를 살포하다 추락한 무인기와 관련해 드론작전사령관이 무인기 담당 영관급 중대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작전을 지시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30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 (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 국방위원회 소속)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해당 무인기가 백령도에서 우리 군이 보낸 것이라는 군 내부 제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
이어 박 의원은 무인기 작전이 이뤄진 직후 군 내부에서 조직적인 은폐 시도가 있었다는 정황도 함께 공개했다. 제보에 따르면, 방첩사령부는 무인기 관련 보고서를 왜곡된 형태로 언론 , 국회, 군 수뇌부에 전달했으며 이 과정에 이 OO 대령, 송 OO 중령, 우 OO 중령 등 군 주요 인사들이 깊숙이 개입해 있었다는 것이다 .
특히 박 의원은 “ 당연히 진행되었어야 할 민군합동조사도 방첩사령관의 지시로 무산됐다” 면서 “ 무인기 작전 발생 닷새 뒤인 2023년 12 월 8일 드론작전사령부에서 발생한 창고 화재 역시 , 조직적인 은폐 시도의 연장선상에서 의심되는 부분” 이라고 주장했다 .
박 의원은 “ 더불어민주당은 ‘12.3 불법계엄 ’ 이 드러나기 훨씬 전부터 윤석열 정권이 계엄령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해 북한 도발을 유도했다는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며 “이번 제보는 그러한 의혹이 단순한 우려가 아니라 실제 작전 지시와 실행, 그리고 은폐까지 동반된 계획적 시도였음을 뒷받침하는 중대한 증거” 라고 밝혔다 .
또한 “2022 년 12 월 북한 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했을 당시 윤 대통령이 ‘몇 배의 드론을 북쪽으로 올려 보내라’고 지시했다”며 “ 당시에는 유치한 대응이라 여겼지만 지금 와서 보면 계엄을 통해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영구 집권을 시도하려 했던 계획의 출발점이었을 수 있다 ” 고 지적했다 .
끝으로 박 의원은 “국민이 부여한 국군 통수권을 기분 따라 휘두르며 무인기까지 동원해 전쟁을 유도한 윤석열 정권은 민주주의와 헌정을 파괴한 것” 이라면서 “안보를 파탄 위기로 몰아간 것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이슈앤 = 최문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