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은 25일 반쪽짜리 사도광산 추도식에 대해 " 대한민국은 일본의 사기극에 또 기만 당하고 뒤통수를 맞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이럴거면 윤석열 정부는 뭘 믿고 지난 7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찬성해준 것이냐"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 "1500명 넘는 조선인이 사도광산에 강제로 끌려가 강제노역을 당한 쓰라린 역사를 일본이 분명하게 인정하고 기록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등재에 반대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대통령이 일본과 친해지고 싶어도 국가 대 국가의 외교에서 우리의 국익과 국민의 자존심을 위한 최소한의 상호주의는 지켜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역사 주권 영토의 문제에 있어서는 타협할 수 없는 원칙이 있다"며 "윤석열 정부 들어서 강제징용 제3자 배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사도광산 등 우리는 일본이 원하는대로 다 내줬는데, 일본은 우리에게 대체 무엇을 해줬냐"고 힘주어 말했다.
유 전 의원은 "일본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던 외무성 정무관을 대표로 보내고 '강제동원'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우리 국민과 역사를 모욕했다"며 "그러고도 우리 측의 추도식 불참에 대해 '유감'이라니 적반하장이 따로 없다"고 맹비난했다.
아울러 "윤석열 대통령은 나라와 국민이 당한 모욕에 대해 국민께 머리 숙여 사죄하고, 외교부 장관 등 정부의 책임자들을 엄중 문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우리 정부는일본은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력이 있는 인사가 24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해 논란이 되자 정부가 행사에 불참했다.
이날 추도식에 참석한 이쿠이나 아키코(生稲晃子) 외무성 정무관(차관급)은 내빈 인사에서 “광산 노동자 중에는 1940년대 일본의 전쟁 중 노동자에 관한 정책에 기초해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이 포함돼 있었다”며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 상황하에서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약 1500명으로 추산되는 조선인 노동자가 강제 동원돼 차별받은 사실은 물론이고 사죄나 유감의 표현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슈앤 / 최문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