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서울시 용산구(구청장 박희영)가 종합행정타운 부설주차장에 전기차 화재 대응체계를 새롭게 구축하고 12일 시연회를 가졌다.
구민들이 안심하고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전기차 화재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다.
구가 이번에 새롭게 마련한 대책으로는 전기차 충전시설 재배치, 이동식 밀폐형 질식소화캡 설치, 열화상카메라 설치, 전기차 충전구역 내 스프링클러 증설, 인공지능(AI) 화재 감지 체계 구축 등이 있다.
전기차 화재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구는 재난관리기금 약 1억 8392만 원을 투입해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기존 지하 5층에 위치했던 전기차 충전시설 7대를 차량 진출입로와 가까운 지하 3층으로 이전했다.
지하 4·5층에 있던 콘센트형 충전기 10대도 모두 지하 2·3층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 시 연기를 바깥으로 빼 시야를 확보하고 소방대 진입이 쉽도록 개선하려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동식 밀폐형 질식소화캡은 전국 자치구 부설주차장 최초로 지하 3층 전기차 충전구역 5면에 설치했다.
이 진압장치는 화재 감지 시 15초 이내에 무인·전자동으로 화재 차량을 덮어 불길 확산을 차단한다.
차량을 밀폐하고 소화용수를 공급해 배터리 내부화재까지 진압할 수 있다.
기존 보안카메라 3대를 열·고온 감지 경보 기능이 장착된 열화상카메라 5대로 보강했다.
기존 2m마다 1대씩 설치됐던 충전구역 내 스프링클러도 2대로 늘렸다.
인공지능 화재 감지 시스템도 함께 설치해 전기차 구역 내 연기나 불꽃이 일면 즉시 청사 방재센터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내년에는 지역 내 공영주차장 전기차 충전구역에 대한 환경개선 작업도 실시할 계획이다.
용산구청장은 “이번 대책을 통해 선제적으로 전기차 화재에 대한 대응역량을 한층 강화했다”라며 “혹시 모를 전기차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실질적인 대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9월에는 이태원119안전센터와 함께 합동 소방교육과 훈련을 실시한 바있다.
구청사 자위소방대원, 동 주민센터 청사 담당, 구 시설관리공단 방재센터 직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이슈앤 = 이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