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앤/ 가상계좌 개설로 인한 불법 도박 자금 제기 등으로 신협이 금융 기관으로서의 신뢰에 상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신협은 “매우 억울하다”며 “금융 기관이 뭐가 아쉬어서 탈, 불법을 허용하겠는냐”는 답답하고 신중한 입장이다.
따라서 이 같은 정황으로 가상계좌로 인한 불법 자금이나 도박 자금 등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지만 이번에 신협이 주 타킷이 된 것에는 납득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 같다는 지적도 여기저기서 나오는 실정이다.
우선 가상계좌 개설은 신협뿐 아니라 시중 은행도 개설해서 현재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시중 은행에서 거래되는 탈, 불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안 되고 신협만 콕 집어 언급되는 것은 시중 은행 가상계좌는 탈, 불법과 도박 사이트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냐는 PG사 관계자들과 가상계좌 사용 업계의 뜨악한 반응이다.
이들에 따르면 오히려 시중 은행에서 이런 형태의 거래가 은밀하게 자금 규모가 크고 다양한 형태로 거래될 여지는 더 클 수 있다는 의외의 시각을 업계 관계자들은 전한다.
물론 일부 업자들 주장이기는 하나 아주 사실과 다르다고 딱히 단정 지을 근거 또한 확실하게 있는 것도 없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 견해라 알려져 있다.
또한 이외에도 특정 지역을 통해서 집중적으로 거래되는 것이 탈, 불법 도박 자금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은 일부는 맞을 수도 있고, 일부는 틀릴 수 있다는 의문 제기다.
즉 이는 긍정적으로는 세금 절세, 부정적으로는 세금 탈루를 위한 일부이기는 하나 고도화된 작업일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이는 금융 기관이 할 수 있는 제재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금융감독원 등이 할 수 있는 사안이다.
또 신협이 파악 할수 있는 일도 아니어서 가상계좌로 인한 탈, 불법 도박 자금 의혹 제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업계 평가다.
이런 두 가지 이유만으로 신협이 현재 가상계좌 개설을 통해 엄청난 이익을 취한 것도 아니고 탈, 불법에 직, 간접으로 관여한 것도 아닌 점은 분명해져 보인다.
뒤늦게 신협은 이런 사실을 인지해 PG사 관계자들 영업을 정지시키고 해당 사안이 수사로 이어지도록 관계 당국에 조치를 취했지만 금융기관이 할 수 있는 한계를 보여준다.
신협은 수사 진행중인 점을 고려 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자제하고 수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 등을 대비 하고 있는 중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슈앤 = 전정웅 기자]